Albion East Ltd 작성
말라리아
개요
말라리아는 2023년에만 전 세계에서 약 2억 6300만 명의 환자와 59만 7000 건의 사망을 초래하며 여전히 공중보건에 심각한 부담으로 남아있습니다. 이 중 발병의 약 94%와 사망의 95% 가량이 아프리카에서 발생했으며, 특히5세 미만 아동과 임산부가 취약합니다. 2000년부터 2015년 사이 말라리아 발생률과 사망률이 상당히 감소했지만, 2015년 이후 감소 속도가 둔화되면서 여러 문제가 등장하고 있습니다. 아르테미니신 내성과 같은 약제 내성이 나타나고 살충제에 대한 내성 또한 확산되고 있는 가운데, 자금은 정체되어 있으며 코로나 19 등으로 보건 체계는 흔들리고 분쟁과 기후변화의 영향으로 인류는 복합적인 도전에 직면에 있습니다.
말라리아는 Plasmodium 속 원충이 원인으로, 감염된 암컷 얼룩날개모기(Anopheles) 가 사람을 무는 과정에서 전파되는데 보통 해질녘부터 새벽 사이에 활발하게 활동합니다. 말라리아를 옮기는 기생충의 생애 주기는 크게 간 단계(exoerythrocytic) 와 적혈구 단계(erythrocytic) 로 나뉩니다. 감염된 모기가 인체에 포자충(sporozoite) 을 주입하면, 이 기생충은 간으로 이동해 간세포(hepatocyte) 를 감염시키고 증상을 일으키지 않으며 8~30일 동안 무성 증식을 합니다.
말라리아는 직접적인 사망 원인이 될 뿐만 아니라 2021년 한 해에만 총 5520만 시간의 장애보정손실수명 (Disability-Adjusted Life Years, DALYs) 을 초래했습니다.
말라리아가 중요한 이유
말라리아는 단순한 보건 문제가 아니라 사회·경제 전반에 걸친 중대한 과제입니다. 특히 아동에게는 치명적으로 2023년 전 세계 사망의 95%가 발생한 WHO 아프리카 지역에서 말라리아 관련 사망자의 76% 가 5세 미만 아동이었습니다. 말라리아의 확산은 장기적으로 인지기능 저하, 평생 소득 감소, 국가 생산성 저하로 이어집니다.
또한 말라리아는 소외되고 취약한 집단에 더 큰 타격을 주게 되는데, 이들은 많은 경우 지리적, 문화적, 재정적, 의사소통상의 장벽으로 인해 양질의 의료서비스에 접근이 어렵습니다. 예를 들어 브라질·베네수엘라·콜롬비아·페루의 원주민들은 산림 지역에서 높은 말라리아 감염 위험에 노출되어 있으며, 불법 채굴 등 외부 압력으로 복합적인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말라리아 퇴치로 ‘삼중 이득’을 낼 수 있습니다. 비용 효과적인 개입을 통해 아동의 건강, 스마트한 경제, 보다 공정한 세상을 이룰 수 있습니다.
도전 과제에 맞설 전략과 혁신
단순한 발병도 방치할 경우 급속히 중증으로 발전할 수 있는 질병의 특성상, 말라리아는 예방과 치료를 동시에 아우르는 포괄적 접근이 필요합니다. 전 지구적 및 국가 차원의 모든 노력은 전략적 개입을 바탕으로 진행됩니다.
진단: 조기·정확 진단이 핵심입니다. 전통적인 방법으로는 임상 관찰, 혈액 도말 현미경 검사, 항원 기반 신속진단검사(RDT)가 있습니다. 최근 디지털 현미경과 인공지능(AI)에 기반한 자동화 진단 기술 개발로 혁신적 발전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는 질병 탐지 정확도와 효율성을 제고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매개체 통제: 모기 개체수를 줄이는 것이 말라리아 발병을 줄이는 데 가장 효과적입니다.
살충처리 모기장: 내구성을 갖춘 살충처리 모기장은 말라리아 유행국가를 중심으로 널리 보급되어 있으며 보급을 확대하기 위해 지속적인 노력을 하고 있습니다. 피레스로이드 (pyrethroid) 내성에 대응하는 차세대 모기장도 보급 중입니다.
실내 잔류 살포 (IRS): 주거 내 벽면에 살충제를 분사는 방식으로 말라리아 예방에 효과적인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르완다 등에서는 고유행 지역에 집중 살포하고 있습니다.
주거 환경 개선: 주택의 구조적 개선 또한 말라리아 전파를 감소시킵니다.
기타: 모기 내 기생충을 표적하는 약물을 대규모로 투약하거나 유전자 구동 모기와 같은 유전적 접근을 통해, 개체 수 및 전파 능력 감소시키려는 혁신적인 매개체 통제 방식들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약물
치료: 세계보건기구는 작용기전이 다른 항말라리아 성분을 최소 2개 이상 포함한 복합 요법을 권고해 약물 내성에 대한 위험을 낮춥니다. 예를 들어 프로구아닐은 말라리아 디하이드로폴레이트 환원효소를 억제하여 예방조치로는 효과가 있지만 급성 감염 치료 효과는 약해 대게 다른 약과 병용합니다.
약제 내성: 동남아시아를 중심으로 발생하고 있는 아르테미시닌 복합 요법 (ACTs)에 대한 약제 내성은 큰 문제가 되고 있습니다.
예방 조치: 어떠한 조치도 100% 보호를 장담할 수 없으므로 질병통제예방센터는 약물 복용과 함께 개인보호수단을 병행하도록 권고합니다.
백신: 세계보건기구는 최근 RTS,S/AS01 백신을 위험에 노출된 아동에 접종하도록 권고하고, R21 백신을 가나·나이지리아 에서 승인하여 최대 80%까지 발병 감소를 보이는 등 말라리아 예방에 상당한 진전을 이루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백신이 만능 해결책이 될 수 없으며 최대 효과를 거두기 위해서는 국가 보건체계 내의 통합과 조직화된 국제적 노력이 병행되어야 합니다.
지역사회 참여: 지역 사회가 개입 설계와 집행에 참여하는 것이 말라리아 통제와 퇴치의 기반입니다. 질병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 예방 지식을 확대하며 신속한 진단과 치료 접근을 보장하여 프로그램에 대한 지역사회의 주인의식을 키우는 것에 집중해야 합니다. 이 접근은 보건 불평등을 해소하고 보건 시스템에 대한 신뢰를 구축하는 데 절대적으로 중요합니다.
연구와 혁신: 연구개발에 지속적인 투자는 새로운 약물표적 발굴, 신규 치료제 개발, 진단법 개선 및 매개체 통제 전략의 진전을 이끌어 내는 데 필수적입니다.
주요 기관 및 이니셔티브
아래는 말라리아 퇴치를 위해 활동하는 대표 기관들 중 일부를 소개합니다.
국제기구·파트너십
세계보건기구 (WHO): 말라리아를 주요 공중보건과제로 지정하고 임상 지침을 제공하는 등 전 세계 말라리아 대응을 주도하는 핵심 보건 기관.
에이즈·결핵·말라리아 퇴치 글로벌펀드 (Global Fund): 말라리아 프로그램의 주요 재원 제공 기관으로, 지난 20여 년 동안 100여 개국의 프로그램에 총 654억 달러를 지원했습니다. 2023년 말 기준, 글로벌펀드 파트너십이 지원한보건 프로그램은 6,500만 명의 생명을 구했습니다.
가비, 백신 연합 (Gavi, the Vaccine Alliance): 말라리아 백신 보급과 회복력 있는 보건시스템 구축의 핵심 파트너
말라리아 종식을 위한 RBM 파트너십 (RBM Partnership to End Malaria): 세계보건기구, 유엔개발계획, 유니세프, 세계은행이 1998년 공동 설립한 글로벌 파트너십으로 말라리아가 초래하는 인적, 사회경제적 비용을 줄이기 위해 활동. 이 파트너십은 “Big Push” 프레임워크의 이행 상황을 모니터링 합니다.
유니세프 (United Nations Children’s Fund): 말라리아 관련 사업 포함 세계 보건 이니셔티브의 핵심 파트너. 납 없는 미래를 위한 파트너십 (Lead-Free Future)을 주관하고 있습니다.
유니테이드 (Unitaid): 새로운 보건 제품의 도입을 지원해 중,저소득국에서 접근이 가능하고 저렴하게 제공될 수 있도록 합니다. 2006년 설립 이후 HIV, 결핵, 말라리아 관련 100 개 이상의 획기적인 보건 제품에 대한 확대에 노력을 기울여 왔습니다.
아프리카 말라리아 지도자 연합 (African Leaders Malaria Alliance, ALMA): 대륙 차원의 ALMA 책임, 실행 점수판, 국가별 말라리아 점수판 등과 같은 도구와 청년 참여 이니셔티브 등을 통해 말라리아 퇴치를 지원하고 있습니다. 아프리카 지도자들과 협력하여 말라리아가 정치, 정책 의제의 우선순위로 유지되도록 합니다.
아시아태평양 말라리아 지도자 연합 (Asia Pacific Leaders Malaria Alliance, APLMA): 2030년까지 아시아태평양 지역에서 말라리아를 퇴치하는 것을 목표로, 정부와 민간 부문과 협력하여 리더십, 재원, 운영 지원을 창출합니다.
범미보건기구 (Pan America Health Organisation): 미주 지역에서 1차 보건 접근을 기반으로 말라리아와 기타 질병 발생 감소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아프리카 말라리아 종식을 위한 의원 연합 (Coalition of Parliamentarians for Ending Malaria in Africa, COPEMA): 2024년 3월 말라리아 유행 아프리카 국가들의 국회의원들이 결성
자선재단·비영리단체
게이츠 재단 (Gates Foundation): 말라리아 연구개발 (R&D) 의 최대 공여자 중 하나이자 근절 노력의 핵심 후원자
말라리아 예방공동체 (Against Malaria Foundation, AMF): 영국에 기반을 둔 자선단체로, 말라리아 유행 국가에 살충 처리 모기장(ITN) 공급하여 말라리아 예방에 주력
말라리아 신약 개발 벤처 (Medicines for Malaria Venture, MMV): 비영리 기관으로, 38개국 100개 파트너와 협력하여 50개 이상의 항말라리아 프로젝트 포트폴리오를 관리하며 신약 탐색과 개발 추진
말라리아 컨소시엄 (Malaria Consortium, MC): 글로벌 보건 및 말라리아 전문기관으로, 구체적이고 확산 가능하며 지속 가능한 영향을 창출
말라리아 노 모어 (Malaria No More): 말라리아 종식을 위해 정치적 의지·재원·혁신 을 결집
클린턴 재단 (The Clinton Foundation): 아프리카와 아시아에 항말라리아제 보급, 아르테미시닌 시장 수요 관리 및 가격 안정화에 기여
추가 자료
아래 자료를 말라리아 문제를 더 깊이 이해하시는 데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세계 말라리아 보고서 2024 (WHO): 말라리아 발병, 사망, 전 세계적 진전 상황에 대한 종합적인 데이터 제공
세계보건기구 말라리아 글로벌 기술전략 (GTS WHO Global Technical Strategy for Malaria): 말라리아 관리 및 퇴치를 위한 세계보건기구의 전략적 프레임워크를 제시
말라리아 개입의 비용효과성 (Cost Effectiveness of Malaria Intervention): 기존의 말라리아 개입에 대한 비용효과성 연구를 비교
AI 기반 디지털 현미경을 활용한 말라리아 자동진단의 진전과 과제 ( Advances and challenges in automated malaria diagnosis using digital microscopy imaging with artificial intelligence tools): AI 기반 말라리아 진단 기술의 최신 발전과 당면 과제를 논의
매개체 통제 또는 화학예방 대비RTS,S-AS01 말라리아 백신의 상대적 비용효과성 모델링 (Modelling the relative cost-effectiveness of the RTS, S-AS01 Malaria vaccine compared to investment in vector control or chemoprophylaxis): 백신 투자 대비 매개체 통제나 화학예방 (약물 예방)투자와의 경제적 효과를 분석
기부 기회
독립 자선 평가기관인 GiveWell 은 다음의 말라리아 관련 자선단체들을 효과성이 높은 기부처로 추천합니다.
말라리아 예방 공동체 (Against Malaria Foundation, AMF): 영국에 본부를 둔 자선단체로 말라리아 유행 지역에 살충 처리 모기장(ITN) 을 보급하는 데 집중하고 있습니다. 높은 투명성과 저비용 운영 모델 로, 15년 연속 세계에서 가장 비용 효과적으로 생명을 구하는 단체 중 하나로 인정 받았습니다. 최근 한국에 동아시아 첫 지부를 설립했습니다.
(Albion East 는 한국 내 AMF 활동을 기부와 직접 지원을 통해 후원하고 있습니다.)
말라리아 컨소시엄 (Malaria Consortium, MC): 특히 아동을 대상으로 한 말라리아 예방 및 치료에 매우 효과적인 단체입니다. 독립 자선 평가기관 GiveWell은 MC의 계절성 말라리아 화학예방 (Seasonal Malaria Chemoprevention, SMS) 프로그램 실행에 있어 확실한 근거와 비용효과성을 높이 평가합니다. 이 프로그램은 말라리아 유행지역의 아동에게 예방용 항말라리아제를 제공하여 발병과 사망을 크게 줄이고 있습니다. 말라리아 컨소시엄은 철저한 모니터링을 통해 기부금이 효율적으로 사용되도록 보장하며 이를 통해 수많은 생명을 구하고 보건 개선에 앞장서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