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lbion East Ltd 작성
비타민 A 결핍
개요
비타민 A 결핍(VAD)은 전 세계적으로 광범위하고 심각한 공중보건 문제로, 특히 저·중소득국가(LMIC)의 아동과 임산부에게 큰 영향을 미칩니다. 이는 아동의 예방 가능한 실명의 주요 원인이며, 중증 감염과 사망 위험을 현저히 높입니다.
비타민 A(레티놀)는 인체에 필수적인 지용성 비타민입니다. 비타민 A는 주로 레티닐 에스터(retinyl ester) 형태로 동물성 식품에 많이 포함되어 있으며, 시력 유지, 세포 분화, 장기 발달, 생식, 면역 기능에 매우 중요합니다. 과일과 채소도 훌륭한 공급원으로, 비타민 A의 전구체인 카로티노이드를 풍부하게 함유하고 있습니다.
전 세계적으로 약 2억 5천만 명의 취학 전 아동이 비타민 A 결핍 상태로 추정됩니다. 이러한 심각한 결핍은 5세 미만 아동 사망의 약 2%를 초래하고 있습니다. 매년 25만~50만 명의 비타민 A 결핍 아동이 시력을 잃고, 이들 중 절반은 결핍의 중증도로 인해 실명 후 12개월 이내에 사망합니다. 임산부의 경우 VAD는 야맹증을 유발하고 산모 사망 위험을 높일 수 있습니다.
비타민 A 결핍으로 인한 부담은 지역마다 다릅니다. 2019년 기준으로 165개 저·중소득국가(LMIC)에서 아동·청소년 3억 3,395만 명이 비타민 A 결핍 상태, 5억 5,613만 명이 경계성 비타민 A 결핍(mVAD) 상태로 파악되었습니다. 비타민 A 결핍과 경계성 비타민 A 결핍 모두 0–5세 아동에서 유병률이 가장 높았으며 각각 19.53%와 28.22%에 달합니다..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특히 중부)와 사회인구학적 지수(SDI)가 낮은 지역은 여전히 비타민 A결핍으로 인한 연령표준화 발생률과 DALY(장애보정생존년수) 손실율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비타민 A 결핍으로 인한 영향
안과적 건강: VAD는 전 세계적으로 예방 가능한 실명의 가장 큰 원인입니다. 야맹증에서 시작해 건성안(xerophthalmia)으로 진행하며, 각막건조, 궤양, 각막연화증(keratomalacia)으로 악화되어 영구 실명에 이를 수 있습니다.
면역 기능: 비타민 A는 건강한 면역 유지에 필수적입니다. 결핍 시 감염 방어 능력이 약화되어 홍역, 설사병 등 중증 질환에 더 쉽게 노출되고 관련 사망 위험이 상승합니다.
성장과 발달: VAD는 소아의 성장·발달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며, 성장장애(stunting) 및 빈혈과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모성 건강: 임산부의 경우 비타민 A결핍은 는 야맹증을 유발하고 모성 사망 위험을 높이는 요인이 될 수 있습니다.
비타민 A의 다양한 공급원
비타민 A(레티놀)는 인체에 필수적인 지용성 비타민입니다.. 주로 레티닐 에스터(retinyl ester) 형태로 동물성 식품에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으며, 시력 유지, 세포 분화, 장기 발달, 생식, 면역 기능 등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과일과 채소 역시 훌륭한 비타민 A 공급원으로, 주로 비타민 A의 전구체인 카로티노이드를 함유하고 있습니다.
예방 가능한 위기: 개입과 재원
다행히 비타민 A 결핍은 상당 부분 예방 가능합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개입이 시행되고 있습니다.
비타민 A 보충(VAS): 가장 일반적이며 비용 효과적인 개입 중 하나입니다. 6–59개월 아동에게 4–6개월마다 고용량 비타민 A 캡슐을 제공하면 일반 감염성 질환으로 인한 사망을 크게 줄이고 실명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비용은 아동 1인당 연간 약 0.04달러 또는 보충제 1회당 약 1.23달러 정도로, 장애보정생존년수 (DALY)당 10~20달러로 예방이 가능할 정도로 매우 효율적입니다. 1990년대에 시작된 비타민 A 보충 프로그램은 소아 사망률과 유병률에 있어 유의미한 감소를 보여왔습니다.
식품 강화: 다수 국가가 주식(主食)에 비타민 A를 첨가하여 결핍을 예방하고 있습니다.
식단 다변화: 시금치 등 짙은 녹색 잎채소, 우유, 간, 생선 등 비타민 A가 풍부한 식품의 재배와 섭취를 장려하는 것은 지속 가능한 장기 전략입니다.
생명공학적 강화(생물강화): 황금쌀 (Golden Rice)와 같이 비타민 A 함량이 높은 유전자 개량 작물이 개발·시험 중이며, 쌀이 주식인 지역에서 추가적인 영양 공급원으로 활용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개입의 효과가 입증되고 예방 비용이 상대적으로 낮음에도 비타민 A 결핍은 여전히 해결해야 할 큰 과제로 남아있습니다. 현재 동부 및 남부 아프리카에서 6–59개월 아동의 3분의 2도 채 안되는 아동만이 적정량의 비타민 A 보급을 받고 있습니다. 다른 글로벌 보건 분야에 상당한 투자가 이뤄지고 있지만, 비타민 A 결핍의 사실상 근절을 위해서는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재원 조달이 필수적입니다.
주요 기관 및 이니셔티브
세계보건기구 (WHO): VAD를 중대한 공중보건 문제로 규정하고, 치료·예방 지침을 제공하며, 회원국의 비타민 A 결핍 관리 프로그램을 지원합니다.
유니세프 (UNICEF): 국가 시스템 강화와 정기적인 비타민 A 보충(VAS) 프로그램 지원에 중점을 두고 있으며, 지속적인 공여국 투자 유치를 위한 옹호활동에서도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합니다.
헬렌 켈러 인터내셔널 (HKI): 비타민 A 결핍 퇴치의 오랜 선도 기관으로, 각국 정부 및 지역 단체와 협력하여 효과적인 VAS 프로그램을 전 세계적으로 운영하고 있으며, 주요 NGO 파트너로 활동하고 있습니다.
뉴트리션 인터내셔널 (NI): 캐나다에 본부를 둔 비영리 단체로, 영양실조 종식과 영양 개선을 목표로 활동합니다.
비타민 A 연합 (GAVA):유니세프,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 헬렌 켈러 인터내셔널(HKI), 뉴트리션 인터내셔널(NI) 이 참여하는 협력체로, 비타민 A 보충(VAS) 프로그램을 위한 인식 제고와 자원 동원을 주도하고 있습니다.
추가 읽을거리
MENA 지역의 비타민 A 결핍: 1990–2019년 부담을 분석한 연구.
골든라이스: RUTF 시장 평가.
새로운 시대의 비타민 A (UNICEF): 2024년 진행 보고서.
비타민 A 결핍의 유병률 (J Glob Health): 모형 분석에 대한 체계적 고찰.
기부 기회
독립적인 자선단체 평가 기관 GiveWell 은 다음과 같은 기관을 특히 높은 효과성을 지닌 기부처로 추천하고 있습니다.
헬렌 켈러 인터내셔널의 비타민 A 보충 (VAS) 프로그램: 취학 전 아동 대상으로 비타민 A 보충 캠페인의 실행을 위해 각국 정부에 재원을 지원합니다. 또한 캠페인의 기획, 보급 인력 교육, 홍보 활동 등 다양한 측면에서 기술적 지원을 제공하며, 도달 범위와 효과를 평가하기 위한 모니터링을 실시합니다.